개요 : 1편에서 이어지는 기본 튜토리얼입니다.
설치 이후, 기본적인 이미지를 만들어 보는 법을 다룹니다.
A. 기본 이미지 생성
1편에서 처음 WebUI 실행시켰을 경우, 가장 먼저 봐야 하는 것은 이 쪽 화면.
긍정 프롬프트 (Positive Prompt) 칸에는 포함되었으면 하는 이미지의 태그를,
부정 프롬프트 (Negative Prompt) 칸에는 포함되지 않았으면 하는 이미지의 태그를 넣어봅시다.
그리고 나서, "생성" 버튼을 통해 이미지를 제작해 봅시다.
처음에는 이미지가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습니다.
왜 그럴까요? 단순히 프롬프트를 자세히 설명하지 않앗기 때문만은 아닙니다. 이미지의 생성은, 다음에서 설명하는 요소들이 큰 영향을 미칩니다.
A-1. 세부 옵션
- CFG Scale 값이 낮을수록 Sampling Steps 값에 의한 그림의 형태가 다양해지고 높을수록 균일해진다.따라서 20 내외 미만 정도의 CFG 값이라면 다양한 범위의 Sampling Steps 값을 활용해보자.
- Sampling Steps, CFG Scale 값이 높아질 수록 AI가 프롬프트의 비중이 높은 그림을 그리게 되므로 프롬프트의 비중을 높이고 싶다면 Sampling Steps와 CFG Scale 값을 높이면 된다.
- CFG 스케일의 경우 20이 넘어가면 점점 이미지가 망가질 수 있기 때문에, 샘플링 스텝을 충분히 높이거나, 확장 기능을 이용하거나, 8~11 사이 적절한 값을 사용하기를 권장합니다.
사례 연구를 위해 해당 프롬프트로 CFG 스케일을 1~150까지 변화시킨 이미지 연구 첨부 : https://arca.live/b/aiart/60685706?category=실험정보&target=all&keyword=CFG+스케일&p=2
B. 모델
제가 A에서의 첫 프롬프트를 통해 뽑은 이미지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Jacket 이란 이미지 태그를 통해 다양하게 만들어진 이미지들)
바로 학습시킨 모델입니다. 이것이 모델이 중요한 이유입니다.
모델들은 (1) 번 글을 그대로 설치했다면, 기본적으로 애니메이션 그림체인 AnimFull 계열이 제공됩니다.
(nsfw 학습자료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어 모델들을 직접 다운받는 링크는 우선 제외)
예를 들어, 실사체 모델인 Basil mix 가 있습니다.
C. 프롬프트
이미지를 제작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여기서는 위에서 간단히 소개한 긍정/ 부정 프롬프트의 기본적인 사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합니다.
퀄리티 태그
masterpice, best Quality 등의 태그는, AI 가 학습 시 참고한 데이터를 태그화 한 데이터로서, 추천수 100 이상, 혹은 50 이상 등의 조건을 통해 선정되어 학습에 들어가는 태그입니다. (표준은 아니지만 대부분의 학습자가 사용하고 있음)
- 예를 들어 위의 태그에서, masterpice 등의 태그는 작업물의 퀄리티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 따라서 이 태그를 넣느냐 아니냐는 다음과 같이 큰 이미지 퀄리티의 차이를 불러옵니다.
- 긍정 프롬프트에 들어가는 퀄리티 태그 뿐 아니라, 부정 프롬프트에 들어가는 부정적인 퀄리티에 대한 방지 태그 또한 이미지 퀄리티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프롬프트의 순서
- 프롬프트는 이미지 생성 시, 입력된 순서대로 이미지를 생성합니다.
- 이 말은 즉, 앞에서 언급된 태그의 내용에서 생성된 이미지들을 기반으로 뒤에서 언급되는 태그들에 대한 작업을 한다는 것입니다.
- 중요한, 기반이 되는 태그들은 앞에 두고, (퀄리티 등) 세부적인 태그일 수록 뒤쪽으로 밀어 언급하는 것이 좋습니다.
프롬프트의 강조
- 괄호를 통해, 프롬프트의 영향력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강조된 프롬프트는 다음처럼 (강력하게) 영향을 미칩니다.
- (괄호) 로 강조된 태그는 기본적으로 1.1 배의 강조도를 추가합니다. 중첩 적용할 수 있습니다.
- ex : (((museum))) = 1.11.11.1
- [괄호] 로 강조된 태그는 기본적으로 0.9 배의 강조도를 추가합니다. 중첩 적용 가능합니다.
- ex : [[[museum]]] = 0.90.90.9
프롬프트 개념 섞기 [from:to:when]
from은 처음 시작하는 오브젝트, to는 무엇으로 변형시키는가,
그리고 when은 언제부터 변형시키기 시작할까를 가리킵니다.
예를 들어 [clock:cat:0.2]라고 쓰면 처음에는 시계를 그리다가
주어진 스텝의 20퍼센트가 되면 그때부터 고양이를 그리게 됩니다.
[wedding dress:military uniform:0.2] 를 통해 제복과 웨딩 드레스를 합친 모습
프롬프트 전환 : [A|B]
위와 달리, A|B는 매 스텝 같은 비중으로 두 개를 번갈아가며 합쳐 그립니다.
그래서 A와 B를 같은 비중으로 그리고 싶을때,
prompt alternating 기능을 쓰면 두 개념이 융합됩니다.
[military uniform|wedding dress]
보통은 머티리얼과 오브젝트를 섞는 데 쓰곤 합니다
(라텍스 웨딩드레스 등등)
[Cat|Clock]
AND 구문 ( 프롬프트 믹싱)
AND 로 나눠진 두 프롬프트 단위를 동률로 섞습니다.
예시를 통해 설명하면,
일반 마법사
masterpiece, best quality, 1girl, casting spell, magic circle, full body, magic
일반적인 프롬프트는 불의 개념을 별개의 오브젝트로 해석합니다.
fire, masterpiece, best quality, 1girl, casting spell, magic circle, full body, magic,
AND 를 통해 해석할 경우, 이전(혹은 이후) 의 개념에 대해 Fire 의 개념을 전부 섞어줍니다.
이미지 컨셉을 강화하는 데 가끔 사용되거나, 다양한 캐릭터를 넣는 확장에서 간혹 사용합니다.
masterpiece, best quality, 1girl, casting spell, magic circle, full body, magic, medium breasts
AND
fire
참고문서 : https://arca.live/b/aiart/61042063?target=all&keyword=연산자&p=1
대화형 프롬프트
- Stable Diffusion 에서는 자연어를 이용한 대화형 프롬프트 또한 지원합니다.
- 따라서 프롬프트 형식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프롬프트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프롬프트를 입력 할 수 있습니다.
Quality:(masterpiece :1.3), (best quality:1.1),
Object: ( Handling simple shepherd's crook),
pose : A girl is standing and looking at viwer and showing thinking face.
focuse: full body, colse up, (puple eyes), solo, from front,
location : medival , traven, Inn,
style : dutch angle,
Style 의 사용
- 마음에 드는 태그 조합을 찾았다면, Save 를 통해 태그 조합을 스타일을 저장할 수 있습니다.
- 차후 Styles 메뉴에서 저장한 태그를 그대로 쓸 수 있습니다.
D. 샘플러.
샘플러는 이미지를 만들어 가는 방식에 대한 방법론입니다.
옆의Sampling Steps 는 높을수록 이미지를 더 여러번 샘플링 처리합니다.
(이미지 제작 시간 증가에 큰 영향을 주므로 기본 20~ 40 사이를 추천)
기본 설명은 이미지로 대체합니다. 최근에는 UniPC 라는 샘플러도 추가되었습니다.
E. VAE
=>
사진의 후보정과 색감을 담당합니다.색감이 이상하다 싶으면 보통 vae 때문이라고 보면 됩니다.
확장자는 .pt .ckpt .safetensers 세가지다.
이름.vae라고 적혀있으면 보통 VAE.
VAE가 없다면 사진의 퀄리티가 급감하므로 VAE를 꼭 끼고 있길 권장. (AutoMatic은 작동하지 않는다.)
'Stalbe Diffusion > Stalbe Diffusion 사용법 및 팁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mfy UI 와 Stable Diffusion 간 모델 공유하기 (1) | 2023.03.24 |
---|---|
Stable Diffusion Web UI 사용해보기 (5) - ControlNet 사용해보기 (구체적인 자세 만들기) (0) | 2023.03.22 |
Stable Diffusion Web UI 사용해보기 (4) - LoRa, DreamBooth, HyperNetwork 사용법. (0) | 2023.03.21 |
Stable Diffusion Web UI 사용해보기 (3) - 확장 기능 소개 (0) | 2023.03.21 |
Stable Diffusion Web UI 사용해보기 (1) 설치하기 (0) | 2023.03.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