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
이 문서는 웹에서 다양한 글들을 짜집기한 뒤 검수하여 만든 문서로,
SD WebUI를 쉽게 사용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가능한 출처를 표시합니다.
WEBUI란?
stable diffusion이라는 그림 생성AI를 사용하기 쉽게 UI를 만들어놓은 프로그램이다.
챈 내에선 대부분 이 프로그램을 이용해 그림을 생성한다.
모델에 따라 실사체부터 2D체까지 모든 그림체를 그릴 수 있다.
실사에 관심이 많다면 모델만 실사 전용으로 바꾸면 된다.
여기서는 로컬에 WebUI를 설치하고 사용해 보는 내용만 다룬다.
사양 확인
설명 | 해당 GPU (없다면 인터넷에 GPU vs GPU하면 비교가 나온다) | |
최소사양 | 512x768 그림을 생성하는데 2분~20초 정도 걸린다. 너무 느리다면 코랩으로 넘어가는걸 권장한다. | GTX 1050, GTX 1050ti, GTX 1060, GTX 1070, GTX 1080, GTX 1650, GTX 1650s, GTX 1650TI, GTX 1660, GTX 1660s, GTX 1660TI, RTX 2060, RTX 2060s |
코랩 | 512x768 그림을 생성하는데 10초 정도 걸린다. 이걸 기준으로 비교해보자. |
대부분 T4, 운 좋으면 P100 |
권장사양 | 코랩보다 빠르다. 30XX 정도가 되어야 VRAM이 확보되는 편이다. |
RTX 2070, RTX 2070s, RTX 2080, RTX 2080s, RTX 2080ti, RTX 3060, RTX 3060ti, RTX 3070 |
울트라 | 내가 멋지게 학습하고 싶다면 바로 이거다. 진심이라면 3090 이상을 추천한다. |
RTX 3080, RTX 3080ti, RTX 3090, RTX 3090ti, RTX 4080, RTX 4090 |
설명 | |
8GB~ | 최소사양이다. 모델에 따라 로딩이 오래 걸리거나 튕기는 경우도 있을 수 있으며 첫 구동시 시간이 걸린다. |
16GB~ | 권장사양이다. 대부분의 활동을 할 수 있다. |
32GB~ | 학습을 잘 다루게 되면 슬슬 이 정도의 램이 필요할 수 있다. 이정도는 필요없다. |
자료 출처 : https://arca.live/b/aiart/68917133
위 사양을 숙지하였으면 Web UI를 사용할 수 있다.
1. 설치
- GitHub 에 원클릭 설치 파일이 올라가 있음.
설치 경로는 하드디스크{HDD}보단 SSD에 넣는 편이 실행 시간, 모델 변경이 더 빠르기에 SSD경로에 넣는걸 추천한다.
설치 경로에 한글X, 오류가 생길 가능성이 높아진다.
https://raw.githubusercontent.com/toriato/stable-diffusion-webui-launcher/main/launcher.ps1
위 링크에 들어가서 우클릭 ⇨ 다른 이름으로 저장 ⇨ launcher.ps1.txt를 launcher.ps1으로 변경 ⇨
원하는 폴더에 저장 ⇨ 파일을 우클릭해서 PowerShell에서 실행 클릭 ⇨
R 치고 엔터 ⇨ To create a public link, set share=True in launch().이 나오면 http://127.0.0.1:7860/ 으로 접속한다.
⇨ 정상적으로 접속된다면 설치 끝.
2. Git 설치
Git 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설치
3.실행
다 했으면 webui-user.bat을 실행한다.
아까 지운 cache 폴더에 설치되어있던 파일들이 repo 폴더 내에 재설치된 후 AI가 실행됨.
앞으로 AI를 키기 위해선 webui-user.bat을 실행하면 됩니다.
그 후, http://localhost:7860 또는 http://127.0.0.1:7860 에 들어가면 된다. 둘 다 같다.
다음과 같은 화면이 떴다면, 실행 성공!
'Stalbe Diffusion > Stalbe Diffusion 사용법 및 팁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mfy UI 와 Stable Diffusion 간 모델 공유하기 (1) | 2023.03.24 |
---|---|
Stable Diffusion Web UI 사용해보기 (5) - ControlNet 사용해보기 (구체적인 자세 만들기) (0) | 2023.03.22 |
Stable Diffusion Web UI 사용해보기 (4) - LoRa, DreamBooth, HyperNetwork 사용법. (0) | 2023.03.21 |
Stable Diffusion Web UI 사용해보기 (3) - 확장 기능 소개 (0) | 2023.03.21 |
Stable Diffusion Web UI 사용해보기 (2) 이미지 생성 기본 요소 (0) | 2023.03.21 |
댓글